티스토리 뷰

반응형

모아주택, 재개발과 다른점은 무엇일까?

 

재개발과 모아주택, 무엇이 다를까요?

재개발은 큰 동네를 통째로 새로 짓는 것, 모아주택은 이웃끼리 작은 단지를 모아 새 아파트로 바꾸는 것입니다.

 

1) 재개발? 모아주택?

  • 재개발(도시정비사업): 노후한 주거지역을 넓은 구역 단위로 철거하고 도로·공원·상가까지 크게 새로 만드는 대규모 사업입니다.
  • 모아주택: 가까운 이웃 블록의 오래된 다세대·연립 등을 함께 묶어 작은 단지형 새 주택으로 바꾸는 소규모 정비입니다. (여러 구역이 모이면 ‘모아타운’이 됩니다)

 

2) 한눈에 비교

구분 재개발 모아주택
규모 대규모 (수천 세대 이상) 소규모 (수십~수백 세대)
대상 넓은 구역 전체 (주택·상가·도로 등) 인접한 노후 주택 블록
방식 전면 철거 후 새 단지 조성 이웃을 묶어 단지형으로 재건축
절차 복잡 (10년 이상 소요) 간소화 (5~7년 목표)
공공 지원 제한적 (관리·승인 위주) 서울시가 금융·설계·기반시설 지원
주민 생활 영향 대규모 이주, 상권 변화 큼 소규모 이주, 생활권 유지 가능

 

3) 장단점 간단 정리

재개발의 장점

  • 넓은 지역을 통째로 개선해 환경·교통·편의시설을 크게 바꿀 수 있음
  • 도시 전반의 노후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기 쉬움

재개발의 유의점

  • 기간이 길고 절차가 복잡, 사업 불확실성 존재
  • 대규모 이주로 주민·상권의 부담이 큼

모아주택의 장점

  • 소규모·단지형으로 추진해 상대적으로 빠른 진행 기대
  • 서울시의 금융·설계·기반시설 지원으로 주민 부담 완화
  • 생활권을 유지하며 주차·안전·녹지 등 동네 문제를 개선

모아주택의 유의점

  • 규모가 작아 대규모 도시 재편에는 한계
  • 세부 보상·설계 선택권이 사업 유형별로 달라 사전 확인 필요

 

 

4) 이런 분께는 이렇게 권해요

  • 우리 동네 전체가 많이 낡았다면 → 재개발이 더 알맞을 수 있습니다.
  • 이웃 몇 블록만 노후했다면 → 모아주택이 더 현실적일 수 있습니다.
  • 이주 부담을 줄이고 생활권을 지키고 싶다면 → 모아주택을 검토해 보세요.

TIP. 실제 적용 가능 여부는 지자체 계획, 노후도, 도로 폭, 동의율 등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구청(정비사업과) 또는 시·구 홈페이지의 공고를 꼭 확인하세요.

 

5) 한 줄 요약

 

재개발은 “큰 판을 새로 짓는” 방법, 모아주택은 “이웃끼리 작게 모여 바꾸는” 방법입니다.

 

 

https://richtoto489.tistory.com/128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