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기능적 원인
- 변비(기능성 변비): 장의 운동이 느리거나 직장 근육의 협조가 잘 안 되는 경우, 변의는 있지만 실제 배변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 직장출구폐쇄형 변비: 변이 직장까지 내려왔지만 골반저 근육이 이완되지 않아 변을 배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대변 성상 문제
- 딱딱한 대변: 수분이 부족해 대변이 지나치게 단단하면 배변 시 통증이 생겨 무의식적으로 힘을 주기 어렵고, 이로 인해 잔변감이나 배변 불완전감이 나타납니다.
- 대변 양 부족: 변의를 느낄 만큼 장이 자극되었지만 실제 변의 양이 적어 시원하게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장 및 직장의 구조적 문제
- 치질이나 치열: 항문 주변이 아프거나 불편해 힘주기를 회피하는 경우 배변이 지연됩니다.
- 직장 탈출, 직장류(여성에서 흔함): 직장 벽이 늘어나면서 대변이 잘 배출되지 않고 걸리는 느낌이 듭니다.
4. 기타 요인
- 수분 및 식이섬유 부족: 수분이 부족하거나 채소, 과일, 잡곡 등 섬유소 섭취가 부족하면 변이 무르고 부드럽게 형성되지 않아 배변 곤란이 생깁니다.
- 운동 부족: 장 운동이 떨어져 배변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약물 부작용: 진통제, 철분제, 일부 고혈압약, 항우울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신경학적 문제: 척수질환, 당뇨성 신경병증 등도 직·간접적으로 배변 곤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생활 관리 방법
- 수분 섭취: 하루 1.5~2리터 정도 충분히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 식이섬유 보충: 채소, 과일, 해조류, 곡류 등을 고르게 섭취하세요.
- 규칙적인 운동: 걷기나 가벼운 유산소 운동은 장 운동을 촉진합니다.
- 배변 습관: 아침 식후 같은 일정한 시간에 화장실을 가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무리한 힘주기 피하기: 과도한 힘주기는 치질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경우
- 변을 볼 때 혈변, 흑변이 동반되는 경우
- 복통, 체중 감소, 빈혈 같은 전신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
- 갑자기 심한 배변 곤란이 시작된 경우
이런 상황이라면 단순 변비가 아니라 대장질환(용종, 대장암 등) 가능성도 있으므로 반드시 소화기내과 진료를 보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 요약하면, 변의는 있는데 대변이 잘 안 나오는 원인은 변비, 골반저 근육 문제, 치질·직장류 같은 구조적 문제, 수분 및 식이섬유 부족, 약물 부작용 등이 있습니다. 생활 습관 개선으로 호전될 수 있으나, 증상이 오래가거나 심해질 때는 꼭 병원 진료를 권장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