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회백질이란?(위치, 기능, 관련 질병)

 

 

뇌와 척수에는 눈에 보이는 색의 차이에 따라 회백질(Gray matter)백질(White matter)이 존재합니다. 회백질은 주로 신경 세포체가 모여 있어 회색빛을 띠며, 정보 처리와 사고, 기억, 감각 해석 같은 핵심 기능을 담당합니다. 반면 백질은 신경 축삭이 모여 있어 하얀색을 띠며, 정보 전달의 통로 역할을 합니다.

회백질의 정의

회백질은 신경계 조직 중 신경 세포체, 수상돌기, 신경아교세포, 모세혈관 등이 밀집해 있는 부분을 가리킵니다. 겉보기에 회색 또는 분홍빛을 띠어 ‘회백질’이라고 불립니다. 우리가 의식적으로 생각하고, 감각을 느끼며, 운동 명령을 내리는 대부분의 과정은 이 회백질에서 이루어집니다.

회백질의 위치

회백질은 뇌와 척수 전반에 걸쳐 분포합니다.

대뇌피질: 뇌 표면을 덮고 있는 얇은 층이 회백질이며, 고차원적인 사고와 기억, 언어, 감각 처리 기능을 담당합니다.
기저핵·시상·뇌간 일부: 뇌 속 깊은 곳에도 회백질이 덩어리 형태로 존재하여 운동 조절과 자율신경 기능을 담당합니다.
척수: 가운데가 나비 모양(혹은 H자 형태)으로 회백질이 위치하며, 그 주변을 백질이 감싸고 있습니다.

 

 

 

 

회백질의 기능

회백질은 뇌와 척수에서 정보 처리의 본부 역할을 합니다.

  • 감각 정보 처리: 시각, 청각, 촉각 등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고 해석합니다.
  • 운동 명령 생성: 근육에 명령을 내려 움직임을 조절합니다.
  • 인지 기능: 학습, 기억, 추론, 언어 같은 고차원적 사고 기능을 수행합니다.
  • 생명 유지 기능: 일부 회백질은 호흡, 심장박동, 체온 조절과 같은 기본 생명 기능을 담당합니다.

회백질과 백질의 차이

구분 회백질 (Gray matter) 백질 (White matter)
주성분 신경 세포체, 수상돌기 수초화된 신경 축삭
색깔 회색·분홍빛 흰색
주요 기능 정보 처리, 명령 생성 정보 전달, 연결
위치 대뇌피질, 기저핵, 척수 중심부 대뇌 속, 척수 바깥쪽

임상적 의미

회백질은 손상되면 곧바로 뇌 기능 저하와 연결됩니다.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병은 대뇌피질의 회백질이 위축되는 질환이고, 파킨슨병은 기저핵 부위의 회백질 손상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척수 손상 또한 회백질이 망가지면 감각과 운동 기능에 큰 장애가 생깁니다.

또한 뇌 영상(MRI 등) 연구에서는 회백질의 두께와 부피가 인지 능력, 기억력, 감정 조절 능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이는 회백질이 단순한 조직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과 행동을 지탱하는 기반이라는 사실을 보여 줍니다.

맺음말

정리하자면, 회백질은 뇌와 척수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중심 영역입니다. 우리가 생각하고, 느끼고, 움직이고, 기억하는 거의 모든 과정은 회백질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백질이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라면, 회백질은 실제로 연산과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뇌의 핵심 본부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백질을 보호하고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은 곧 뇌 건강과 직결된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